반응형
이번에 배울 내용은 수학과의 집합론 수업이나,
기타 교양의 논리학 수업을 들었다면 알 수도 있는 내용이다.
혹, 그런 교육을 받아본적 없다고 하더라도 겁먹지 말자.
참 또는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을 얼컫어, '명제'라고 한다.
아래는 명제의 예이다.
1은 4보다 크다.
모든 정수의 합은 9999보다 크다.
9 - 7 = 2이다.
=> 참인지 거짓인지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모두 명제에 해당한다.
아래는 명제가 아닌 것의 예이다.
저 꽃은 아름답다.
나는 잘 생겼다.
그는 코딩을 잘 한다.
=> 아름답다, 잘 생겼다, 코딩을 잘 한다의 기준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명제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러한 명제를 간단하게 기호로 p, q로 나타낸다.그러면 아래 표와 같은 상황을 생각할 수 있다.
p | q |
T(참) | T(참) |
T(참) | F(거짓) |
F(거짓) | T(참) |
F(거짓) | F(거짓) |
그리고 이 작은 표로부터 출발하여 다양한 논리 상황을 표로 만들 수 있다.
논리학에서 ~는 부정을 의미한다. 마치 코딩에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논리곱은 (∧)기호를 사용하고 논리합은 (∨)기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조금 헷갈릴 수 있는 배타적 논리합은 (⊕)기호를 사용한다.
이들을 적절히 조합하면 아래와 같이 표를 확장할 수 있다.
p | q | ~p | ~q | p∧q | p∨q | p⊕q |
T(참) | T(참) | F(거짓) | F(거짓) | T(참) | T(참) | F(거짓) |
T(참) | F(거짓) | F(거짓) | T(참) | F(거짓) | T(참) | T(참) |
F(거짓) | T(참) | T(참) | F(거짓) | F(거짓) | T(참) | T(참) |
F(거짓) | F(거짓) | T(참) | T(참) | F(거짓) | F(거짓) | F(거짓) |
논리적인 사고 방식은 코딩을 할 때 매우 중요함으로,
천천히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
끝.
반응형
'컴퓨터 공학 > 프로그래밍 과외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과외] 6. Day1 요점정리 (0) | 2021.06.26 |
---|---|
[자바스크립트 과외] 5. 객체(Object)란? (0) | 2021.06.26 |
[자바스크립트 과외] 3. 단위원과 삼각비 (0) | 2021.06.25 |
[자바스크립트 과외] 2. 합성함수 (0) | 2021.06.25 |
[자바스크립트 과외] 1. 함수(function)란? (0) | 2021.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