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내용 >> 합성함수란, 말 그대로 2개 이상의 함수를 합성한 것이다. 예를들어 f라는 함수의 입력값이 3일 때 출력값이 2라고 가정하고, g라는 함수의 입력값이 2일 때 출력값이 1이라고 가정해보자. 이때 g(f(3))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괄호의 가장 안 쪽부터 풀어나가면 쉽게 풀 수 있다. f(3)이 2라고 했으므로 이(g(f(3)))를 g(2)로 고쳐 쓸 수 있고, g(2)의 출력값은 1이라고 했으니 최종 정답은 1이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함수 뿐만 아니라 여러개의 함수들을 합성시켜서 원하는 값을 받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면 된다. 지금은 예를 통해 합성함수에 접근하기 위해서 간단한 숫자만을 예로 들었지만, 논리적으로 다양한 처리가 이어지는 프로그래밍에서 어떤 함수(여기에서는 함수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