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선 오라클에서 사용되는 CHR 함수 몇 개에 대해서 알아야 이해가 빠르다.
CHR(9) : 탭(Tab)문자
CHR(10) : 줄바꿈(LF)
CHR(13) : 행의 처음(CR)
CHR(38) : 앰퍼샌드 기호 (&)
CHR(39) : 홑따옴표 기호 (')
CHR(44) : 쉼표 (,)
DB에 특수문자를 넣어야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문법을 활용할 수 있다.
SELECT
'SA' || CHR(10) || 'MP' || CHR(44) || 'LE' AS X
FROM DUAL
SELECT시 특수문자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문법을 활용할 수 있다.
SELECT
REPLACE(X, CHR(44), '') AS Y
FROM
(
SELECT
'SA' || CHR(10) || 'MP' || CHR(44) || 'LE' AS X
FROM DUAL
)
즉, REPLACE([컬럼], 변경전문자, 변경후문자) 와 같은 식이다.
반응형
'컴퓨터 공학 > Oracle DB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ORA-00936 : 누락된 표현식 (0) | 2021.06.10 |
---|---|
[Oracle] 컬럼 사이즈 변경 (ALTER TABLE COLUMN SIZE) (0) | 2021.06.10 |
[SQLD] 과목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요점정리 (0) | 2021.05.09 |
[Oracle] ORA-65096 공통 사용자 또는 롤 이름이 부적합합니다 (0) | 2021.01.29 |
[Oracle] ORA-01119 Error 해결 (0) | 2021.01.29 |